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축수산물 중의 농약 동시 분석법 검토

전문가 제언

식품 중의 잔유농약 분석은 mg/kg이하의 분석 대상성분을 고감도로 검출하고 정량하는 미량분석 분야로, 다양한 검체 형태로부터 혼입되는 방해성분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해야하는 정제방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석결과의 공적, 법적 사용을 위하여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분석법 분야이다.

 

최근 사용되는 농약 화합물들이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대상 화합물의 극성, 해리 특성,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분석법들이 연구 개발 되고 있는데. 특히 잔유농약 분석법은 미량 분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계속적으로 개선되어, 최근에는 GC/MSLC/MS와 같은 hyphenated techniques,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이나 hydromatrix를 이용한 검체 정제법이 적극적으로 도입 활용되고 있다.

 

식품에 대한 잔유농약 분석법 기준은 분석목적에 따른 다 성분 및 개별분석법에 따라 다소 상이하기는 하나, 정량한계 0.05mg/kg이하 또는 잔류허용기준의 1/2, 회수율 70~130%, 분석오차 10~30% 이하이다. 잔유분석을 수행하는 실험실은 사용하는 각 분석법과 분석요원의 능력이 상기 기준을 만족함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여야 한다.

 

다성분 동시 분석법의 경우는 분석조작 1회당 검사가 가능한 농약수가 수십 가지 이상으로 분석효율은 매우 높으나 각각의 성분에 대한 분석의 정밀도나 신뢰성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개별 분석법은 개별 농약성분별로 최적화시킨 분석법으로 분석의 효율은 낮으나 최고의 분석 감도, 정밀성 및 신뢰도가 보장되기에, KFDA에서는 2종의 다성분 분석법과 더불어 150여종의 개별 분석법을 고시하여 두 분석법 체계를 함께 운용하고 있다.

 

국내의 연구로는 김 등의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법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발표를 한 실적 127건 중에는 국가RnD연구보고서도 49건이 포함되어 있으나, 본 건 논문이 가장 실용적이다.

저자
Mayuko Yoshizaki, Yukari kobaYashi, Masanori shimizu, Kouichi maruYa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6(3)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7~82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