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에 의한 식생교란의 지구규모 위성모니터링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에 의존한 급속한 산업발전, 도시화에 의한 토지피복의 변화와 무역과 관광의 세계화로 생태계 교란이 심해지고 생물 다양성이 낮아져 기후와 질병의 조절, 수자원과 식량자원의 공급 등 생태계 서비스의 이상으로 인류 생존이 위협을 받고 있다. 지구 평균온도가 지금보다 6상승하면 생명체의 유지가 힘들어진다.

 

생태계 교란은 바람, 산불, 가뭄, 홍수, 곤충과 병원체, 얼음과 눈사태와 외래종 침입 등에 의하여 시공간적으로 순간 또는 장기간 발생한다. 교란의 육상 관측은 제한적이며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현재는 LIDAR와 위성원격 탐사영상을 많이 병행하고 있다.

 

산림은 CO2의 주요 흡수원이나 육생생태계에서 기온에 가장 취약하 여 식생 교란과 고사율이 증가하고 있다. 산림교란과 토지 피복 변화를 분광파장의 반사율 차이로 탐지한다. 그러나 고밀도 삼림, 산불과 같은 돌발과 장기 가뭄 그리고 넓은 공간의 많은 군집의 불균일한 교란의 식별에는 한계가 있어 1m 이하 해상도와 분광혼합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생물 다양성 회복에 필요한 식생교란에 대한 지구 규모 원격탐사 모니터링의 새로운 체제를 제안하고 필요성과 타당성을 현재의 문제를 분석하여 입증하고 있다. 특히 산림생태동역학과 복사전달모델의 융합과 같은 많은 융합모델의 개발과 정보를 교환하여 교란의 속성, 결과와 영향 및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실행의 확산을 강조하고 있다.

 

환경부는 1998년부터 현재까지 위성을 통하여 한반도의 토지 피복 분류도, 생태 자연도 등 생태 보존을 위한 기본 영상지도를 작성하고 등급을 부여하여 각종 계획의 자료로 활용하고 공급하고 있으며 2020년까지 외래 생물과 유전자 변형생물 관리강화,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 최소화와 생태복원 달성을 목표로 각종 모니터링의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

 

생태복원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생태변화 과정의 많은 정보자료가 필요하므로 지속적인 원격탐사와 모사, 모델링과 종합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이에 대한 기술을 보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저자
Nate G. McDowell, Nicholas C. Coops, Pieter S.A. Beck, Maosheng Zha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20(2)
잡지명
Trends in Pla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4~123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