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성분에 의한 내당성 기능의 이상개선

전문가 제언

현대인의 당뇨병 환자 수가 증가하여 사회문제가 되는 것은 식생활의 변화에 따른 비만요인과 인슐린 저항요인이 많아진 것에 기인되고 있다. 비만이나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는 내당능장해(Impaired glucose tolerance), 지질이상증, 고혈압을 초래, 이들 질병은 현대인의 사망원인 상위를 점하는 심혈관 질환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 같은 상항과 의료비 절감 관점에서 비만이나 당뇨병의 예방, 개선에 관한 식품성분의 기능성이 주목 받고 있어, 혈당치 조정에 기여하는 특정 보건용 식품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본고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비롯한 식품성분에 주목, 고혈압 예방이나 그 기반 병태인 비만, 인슐린(insulin) 저항성 예방, 개선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의약품이나 식품에 의한 혈당치 조절을 위한 전략으로는 주로 다음 6가지를 열거할 수 이는데 즉 소장의 당질소화에 관한 효소저해, 취장에서의 인슐린 분비촉진, 간장에서의 당분 신 생활성의 저해, 소장에서의 포도당의 흡수저해, 혹은 신장에서의 포도당의 재흡수 저해, 근육이나 지방조직 등의 말초 조직에서의 포도당 취입의 촉진이다.

 

소화관에서 효소 저해는 고혈당 예방의 전략으로 유효하여 장의 당질소화효소 저해에 대해서는 α-amylaseα-glucosidase를 저해시켜 식후의 혈당치를 평온하게 하는 것이며 카테킨이나 그 중합물인 theaflavin, procyanidin polyphenol가 이와 같은 작용하는 식품성분이어서 고혈당 치료용으로 특정 보건용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식품성분에 의한 내당능 이상의 개선에 대한 지금까지 얻은 데이터는 배양세포실험과 동물실험에 의해 식품성분의 유효성을 확인한 것으로 앞으로 인체시험을 실시 검증하여 상품개발에 연계하는 연구가 전개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polyphenol은 생체에서는 이물질도 인식되기 때문에 그 체내 동태의 검증과 진정한 유효 성분의 해명, 심지어 체내의 표적 분자의 해명도 중요한 과제로 이들 과제를 해결 할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Hitoshi Ashida, Yoko Yamashit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5(1)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1~35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