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티렌-부타디엔 고분자로 구성된 핫멜트 감압접착제

전문가 제언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며, 다양한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각종 부자재를 접합하거나 조립하는 보조제로 이용된다. 따라서 최근 각종 조립공정의 간편화, 경량화 및 환경규제강화 등의 추세에 맞추어 접착제의 기능개발 및 성능향상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핫멜트 접착제는 다른 접착제에 비해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발명은 모노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 공액 디엔 블록 및 블록 공중합체와 적어도 2개의 모노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 공액 디엔 블록 및 점착부여수지로 구성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허청구권을 보면 공지의 화학물질을 사용한 합성과 여러 가지 화합물의 조합에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권 침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참고 시에 배합성분 및 배합비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핫멜트 접착제는 적용용도에 따라 에틸렌아세트산비닐(EVA), 고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이 주성분으로 이용되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EVA계 핫멜트 생산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국내 핫멜트 접착제 제조업체로는 헨켈테크놀로지, 오공본드, MCS 3사가 주요 메이커이며, 이외에 신광핫멜트, 백림화학 등의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이탈리아의 베르살리스사와 합작하여 핫멜트 접착제 원료인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SIS),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SBS) 생산설비를 2018년까지 연산 5만 톤 규모로 여수공장에 설치한다고 지난 41일에 발표한 바가 있어 국내 핫멜트 시장의 점유율 확대가 기대된다.

 

향후 접착제의 가장 큰 과제는 기술혁신과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책의 강구이다. 특히 핫멜트 접착제는 무용제형이므로 우수한 환경친화성은 물론 빠른 접착속도, 자동화의 용이성, 광범위한 접착성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단점으로는 내열성 및 내크리프성이 약하고 작업조건에 따라 접착력에 차이를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핫멜트 접착제의 용도 확대를 위해서는 새로운 폴리머나 점착부여 수지의 개발, 도포 후의 가교반응에 의한 접착 설계, 전기전도성이나 난연성과 같은 특수기능의 부여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기술혁신이 요구된다.

 

저자
Kraton Polymers U.S.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0324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