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폐수의 비용-효과적인 질소처리기술
- 전문가 제언
-
○ 가정의 폐수, 특히 정화시스템이 질소오염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에 포함된 질소와 같은 영양분이 수계로 유출되면 부영양화를 일으킬 수가 있다.
○ 과도하게 많은 영양분이 자연수계에 유입되면 시안박테리아나 조류가 번성하게 되어 물의 투명도저하, 나쁜 냄새, 조류독성 등의 원인이 된다. 시안박테리아나 조류는 생분해과정에서 물의 용존산소를 감소시켜 수질과 에코시스템 서비스를 나쁘게 한다.
○ 가정에서 배출하는 폐수의 적절한 처리는 질소오염을 완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정의 폐수는 대부분 정화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정화조 배출수에 포함된 질소분이 인근의 강이나 바다로 유입된다. 정화시스템의 설치와 운영은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폐수관리의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 폐수처리는 전통적인 집중처리가 가장 좋은 방법이고 문제가 있는 정화시스템 대체의 방법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집중시스템의 건설에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대형 폐수처리플랜트와 같이 집중적으로 질소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전체 도시가 아닌 소집단을 묶어서 처리하는 방안도 있다
○ 본 연구는 질소제거의 비용-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가정에서 발생하는 질소의 흐름과 다양한 도시하수처리시스템의 비용을 조사하였으며, 에머지(emergy), 지구온난화, 병원균의 영향, 시스템복구와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한 부분으로서의 라이프사이클비용을 논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강의 부영양화로 인한 녹조현상으로 식수와 농업용수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대도시에는 하수고도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소도시나 농촌지역의 수계는 아직도 질소오염의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폐수의 질소완화, 제거에 관한 문헌, 논문이 그렇게 많지 않다. 본 논문과 같은 가정폐수의 대체처리기술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망된다.
- 저자
- Alison Wood,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50()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44~354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