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 오염물질을 줄이는 반응성 염료에 의한 면직물 염색개발에 대한 리뷰
- 전문가 제언
-
○ 반응성염료에 의한 면직물 염색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는 심하게 오염되어 있어 섬유염색산업은 환경오염의 주범의 하나로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폐수 오염물질을 줄이는 반응성염료에 의한 면직물 염색개발에 대한 리뷰”를 주제로 하여 반응성염료에 의한 면직물 염색으로부터 생기는 유독 환경 영향을 감축하기 위해 섬유제조업체에 이용될 수 있는 기법들과 기술들을 탐색한다.
○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염료에 의한 면직물염색의 오염폐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대체적 염색기법과 기술, 염색 후 폐수처리공정이 두 가지 주요 방식이라고 제시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반응성염료의 개발, 염색기계 및 공정의 개선, 염색 전 면직물의 화학수식(Modification), 염욕(Dyebath)에서 생분해성 유기화합물의 이용과 폐수처리공정법을 통하여 염색공정의 지속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 오늘날 의류섬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섬유염색산업이 다량의 정수를 소비함에 따라 폐수처리와 물재활용이 배출오염물질의 감축과 재이용 가능한 공정용수의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대부분의 면직물은 유행색(Fashion Colour)을 생성하는 반응성염료로 염색되고 있어 그 페수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물 이용과 오염화학약품을 감축하는 기술개발이 중요해지고, “최적가용기술(BAT: Best Available Technology)"의 실행이 강조되고 있다.
○ 유럽연합, 일본 등 선진국은 선진기술개발로 폐수오염을 감축하는데 상당한 효과를 실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섬유염색폐수의 심각한 오염물질을 적정하게 처리하는 단계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국내 폐수처리기법으로 응집침전법, 응집가압부상법, 활성탄흡착법, 오존산화법 등이 보급, 사용되었으나 그 효과나 적용기술이 미흡하여 현재는 생물학적 처리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섬유염색 폐수오염에 대한 처리기술개발이 지속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산학연의 유기적인 체계구축이 필요하다.
- 저자
- Awais Khatr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5
- 권(호)
- 87()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0~57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