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적외선 파장 제어를 이용한 건조 시스탬

전문가 제언

최근 도금이나 인쇄기판의 건조시간을 절반이하로 단축시키고 높은 에너지 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적외선 표면 건조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011년 일본의 H. Yamashita는 잉크가 도포된 필름이나 기판, 도금제품의 건조시간을 종래보다 50% 단축시키면서 에너지 효율향상의 파장제어 건조시스템을 개발했다.

 

적외선 파장을 제어한 표면건조기술은 주로 인쇄회로기판의 드라이필름이나 솔더 레지스트, 문자 마킹 건조에 필수적이다. 적외선 건조는 자외선 건조와는 달리 내부에서부터 표면으로 건조되기 때문에 표면의 수축, 팽창에 의한 주름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 햇빛에 의한 건조나 자연건조는 표면주름이 발생하고 건조시간이 길어 대량생산 제품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0년 하이텍사는 종래의 인쇄전자분야의 도금 레지스트 건조공정을 자외선 건조에서 적외선 건조공법으로 개선하였다. 적외선 파장제어 건조시스템은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나 콘덴서의 전극판, 분리판 등의 건조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적외선 파장제어 건조시스템으로 변경하게 된 이유는 건조로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발화의 우려가 있는 용제나 열에 약한 수지계의 필름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종래의 건조기에는 저항선에 전류를 보내어 발생하는 열을 직접 이용하는 전기저항 건조기, 전구처럼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전구, 방전할 때 발생하는 아크 방전 건조기, 고주파의 전기장을 이용하는 발열 전자레인지가 대표적이었다. 열 자체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미건조, 과다건조, 주름 불량이 발생하였다.

 

최근 광반도체 절연잉크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적외선 파장적외선 파장제어 건조시스템은 인쇄도포 및 도금후처리 건조공정의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국내 기업체에서 인쇄기술을 응용한 전자회로나 도금기판 제조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 사료된다.


저자
Yoshio KOND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7)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00~304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