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쿠마린산의 기능성과 흡수성에 관한 in vivo 평가

전문가 제언

p-쿠마린산(p-coumaric acid)은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페놀성 2차대사산물로 caffeic acid, ferulic acid 등과 함께 hydroxycinnamic acid의 총칭이다. 각종 과실류, 곡류, 채소류(토마토, 발아보리, 인진쑥, 개오동나무잎, 제주조릿대, 갯방풍, 프로폴리스)에 포함되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화합물이다.

 

p-쿠마린산은 cis-hydroxycinnamic acid(C9H8O3)의 시스형을 쿠마린산, 트란스형은 쿠마르산이라 한다. 쿠마린산은 불안정하며 이황화탄소 중에서 요오드로 처리하거나 묽은 산과 끓이거나 중성 용액 중에서 염화수은 또는 아세트산수은으로 처리하면 쿠마르산으로 변하고 쿠마르산은 자외선에 의해 쿠마린산으로 된다.

 

p-쿠마린산의 식물체 중 존재형태는 유리형, 퀸산(quinic acid), 주석산,포도당과의 에스터(ester)화물, 세포벽을 구성 다당과의 에스터화물, 리그닌의 구성성분 등 다양하다. 기능성 연구는 다른 페놀화합물과 같이 항산화작용의 평가를 비롯하여 저밀도지단백질의 산화억제, 항염증 등의 작용이 보고되었다.

 

p-쿠마린산 섭취에 의한 지질대사 개선작용의 검정과 아울러 작용메커니즘을 해명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능성평가시험은 간장 중 TG 및 콜레스테롤에서만 p-쿠마린산 섭취로 저하경향을 확인하였다. 식품성분은 입으로 섭취하기 때문에 소화, 흡수, 대사를 고려한 생리조건에서 평가가 필요하다. 식품의 기능성 영역을 더욱 발전시키려면 신뢰성이 높은 정보의 축적과 해석이 바람직하다.

 

국내 연구는 파라-쿠마린산의 자외선B 차단효과(송교선부용출, 2012)p-쿠마린산에 의해 유도되는 인체 Jurkat T 세포의 에폽토시스 기전(이제원김영호, 2011)이 있으며 쿠마린산은 옛부터 전래된 질병(, 염증, 당뇨, 고혈압, 신경세포노화, 피부노화) 예방에 일부 유용하다는 보고가 있다. 앞으로 쿠마린산의 효능검증에 대한 연구가 in vitroin vivo에서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Kunihiro Kishi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5(1)
잡지명
食品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