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실란 커플링 처리에 의한 알루미늄 박막의 부식억제 작용

전문가 제언

최근 알루미늄의 수요가 늘고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 자기디스크, 광학기기나 바이오센서 분야에서 알루미늄 박막이 채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은 전위가 낮기 때문에 박막으로 석출시키기 어렵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유기용매나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하여 내식성과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란 커플링 처리에 의한 알루미늄 박막의 부식억제 작용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점부식(Pitting Corrosion)이란 금속이 염소나 염화물 등 내식성 분위기에 접촉되어 있을 때 국부적으로 침식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알루미늄의 내식성 향상을 위하여 2004년 독일의 M. Marcos는 알루미늄에 6가 크로메이트 처리를 대신한 3가 크로메이트 처리액을 개발하였다. 3가 크로메이트 처리액은 도장밀착성이 6가 크로메이트 처리액보다 떨어질 뿐 아니라 작업조건관리도 까다롭다. 게다가 처리액도 고가여서 중소기업 도금현장에서는 이러한 3가 크로메이트 처리액을 구입하여 적용하기에 부담이 많은 실정이다.

 

2000년에 접어들면서부터 환경개선과 함께 실란 커플링 처리와 같은 내식성과 밀착성 향상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2002년 인천 남동공단의 ㈜하이텍에서는 인쇄회로기판 동의 부식을 방지하고 적층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실란 커플링 처리액을 개발 적용하였다. 1994년 반월공단의 태양금속공업(주)에서는 전해동박을 생산하면서 접착성 향상을 위한 후처리로서 실란 커플링 처리를 실시하였다.

 

표면 내식성과 밀착성 향상기술은 도금제품의 전기적 접속이나 부풀음 방지에 필수적이다. 최근 고주파 송수신기가 업그레이드되어 개발되면서 표면밀착성 확보는 서로 치열한 경쟁이 가속되고 있다. 2015년 비즈오션사는 점접착 밀착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산업교육 연구소에서도 중소기업을 위한 코팅 점접착 세미나도 활성화되고 있다. 국내 도금현장에서도 향후 고경력자를 활용한 실란커플링 표면처리 내식성과 밀착성 향상의 기술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
Katsumi MABUC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6)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66~276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