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산으로 접목된 황마섬유에 고정된 키토산(Chitosan)을 이용한 섬유폐수 반응성염료의 제거
- 전문가 제언
-
○ 염색중에 섬유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고착하는 염료인 반응성염료는 섬유염색폐수의 주성분의 하나로 생물학적 난분해성 오염물질이고 유독성물질이 되고 있다. 섬유염색공정은 다량의 물을 소비하고 화학약품과 염료, 특히 반응성 염료를 이용함에 따라 심각한 오염원이 되고 유독성물질을 함유하는 섬유염색폐수를 발생시켜 환경훼손을 유발하고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 본 논문은 “아크릴산으로 접목된 황마섬유에 고정된 키토산(Chitosan)을 이용한 섬유폐수 반응성 염료의 제거”를 주제로 하여 아크릴산으로 접목되고 키토산으로 고정된 황마섬유가 섬유염색 폐수 내의 반응성염료흡착제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염료와 섬유와의 반응은 pH가 증가하고 염색의 온도가 상승하면 촉진된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 반응성염료는 세계적으로 개발이 집중된 중요한 섬유원료로 섬유생산에 필수적인 제품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섬유제품의 고급화 및 다양화에 따라 섬유 염색가공에서는 여러 종류의 염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선명한 색상, 높은 염색효과, 탈색이나 바래지 않는 장점을 지닌 반응성염료 사용의 증가로 오염물질과 유독성물질을 함유한 염색폐수의 다량 배출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 국내에서는 섬유염색폐수의 처리에 대해 단편적으로 화학적,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나 집중적인 심층연구에 의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반응성 염료 흡착제거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를 위한 정책 지원조치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염색가공은 국내 섬유제품의 부가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부문이므로 친환경적인 반응성염료의 생산기술이 확보되어야 하고, 경쟁력이 있고 친환경적인 염색설비의 개발과 혁신적인 염색가공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 저자
- Mahmoud S. Hass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15()
- 잡지명
-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5~61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