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의 리콜 감소를 위한 위생해충의 혼입 방지

전문가 제언

일본 농림수산소비 안전센터의 3년간 회수 조사에 의하면, 식품리콜의 원인은 알레르기 표시가 668건 중 132(19.7%)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한표시 19.3%, 품질 불량 12.9%에 이어 이물혼입이 84(12.6%)으로 알레르기 표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알레르기 표시에 대한 홍보·제도개선이 필요하고 위생 해충의 혼입 방지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위생 해충의 혼입 방지대책으로 모니터 트랩에 의한 기초데이터의 현상파악과 5S의 실행, 건강 피해에 대한 과학적 평가와 해충동물의 침입과 발생 환경의 관리, 방충관리의 문제점 해결에 PDCA 사이클 운용의 조직화, 해충동물의 발생방지를 위한 점검, 해충동물의 생태 이해와 혼입 발생에 따른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 한다.

 

우리나라의 식품 중 이물 발생(식약처, 2014)6,419건으로 전년보다 감소추세이고 그중 벌레가 2,327건으로 가장 많고 곰팡이, 금속 순이다. 혼입식품은 면류, 과자류, 커피 순이다. 감소는 2010식품업체 이물보고 의무화로 판단되나 곤충 이물혼입 대책은 더욱 절실하다고 본다.

 

2012년 한국소비자원에 의하면 식품 알레르기 발생은 1,166건으로 증가 추세이다. 알레르기 유발식품의 표시대상 제외 품은 14,031건 중 1,354(9.7%)으로 조리업체의 비포장식품이 959(70.8%)으로 국내의 비포장식품은 표시의무 대상에서 제외되어 이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곽동경(2014) 등은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의 이해도와 중요도 수행도 분석에서 알레르기 표시 문구를 굵은 활자로 사용함을 강조하였다. 장영미(2013) 등은 주류 중 곤충 이물의 혼입 시기 판별법 개발연구에서 곤충의 혼입 시기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식품공장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파리나 바퀴의 혼입 시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식품에 혼입되는 이물은 인체에 직접 해를 끼쳐 위해 요인이 된다. 이물 방지의 기본 요령은 밀폐용기와 저온 보관이 관건이 된다. 소비자는 이물을 식품안전의 지표로 인식하고 있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Kunihiro SATO, Tomoya SHIOTA, Shigeru IKUTA, Goro TAJI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5(6)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20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