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효율적이고 저렴한 플렉시블 OLED

전문가 제언

본 논문의 내용은 굴절률이 투명 전도성 산화물 전극과 잘 부합되는 고분자재료인 일반등급 PEN(i-PEN)을 기판으로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OLED로 가는 길을 모색한 것이다. 플렉시블 OLED가 차세대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는 요즘, 유연하면서도 그 자체로 효율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고분자재료의 선택이 돋보인다.

 

이 논문을 분석하면서 다시 한 번 느낀 것은 최근의 기술발전이 여러 분야의 학제적인 연구개발 업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과 토의가 물리학자, 전기공학자의 몫이라 재료과학자의 입장에서 실험결과에 대하여 수긍은 하지만 이론적인 배경설명을 완전하게 이해하기 어려웠던 점은 아쉬웠다.

 

특히 크기변환 광학적 모사(trans-scale optical simulation)부분은 결과만을 그대로 전하였을 뿐 그 이론적인 배경과 모사과정에 대한 설명은 거의 생략되었다는 것을 여기에 밝혀둔다. 관련 이론에 관심이 있으면 본문을 숙독하기 바란다.

 

이 논문은 한국의 유수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이 분야 기술발전을 선도하고 있는 국내 기술의 현주소를 실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 가지 의문점은 i-PEN을 기판으로 사용하는 OLED의 응용이다.

 

왜냐하면, 비록 기기의 효율은 향상된다고 하나 투명도에서 광학용 PEN(o-PEN)에 훨씬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차세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응용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생각에 도달하였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한 언급은 논문의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본 논문의 결과에 대한 응용이 고체 광원으로서는 손색이 없을지 모르나 디스플레이로는 부족함이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분석자의 모자란 생각이 아니길 바란다. 이점에 착안한 새로운 연구개발 업무가 지속되었으면 한다.

 

저자
Eunhye Kim,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27()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24~1631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