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유체성 고성능 반응성 핫멜트 실란트 및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핫멜트 접착제는 실온에서 고체이지만 가열하면 물체에 도포되는 형태의 액체 또는 유체 상태로 용융되며, 냉각에 의해 고체 형태로 복귀한다. 이 접착제를 냉각하여 생성된 경질상은 최종 접착제에 대하여 응집력, 즉 강도, 인성, 크리프 특성 및 내열성을 부여한다. 종래의 액체경화 접착제에 비교하여 핫멜트 경화성 접착제의 이점은 경화 전의 냉각에 의해 그린 강도를 부여하는 성능 및 가교밀도가 매우 낮은 접착제의 제공, 즉 높은 수준의 유연성 및 인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의 대부분은 습기경화 우레탄 접착제로 표면 또는 환경습도와 반응하여 사슬 연장에 의해 새로운 폴리우레탄/요소 폴리머를 형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디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며, 경화는 대기 또는 물체로부터의 습기가 접착제로 확산한 다음 반응하여 달성된다. 습기와 잔존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은 불안정한 카르밤산을 형성하고, 아민과 CO2로 분해된다. 아민은 신속히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요소를 형성한다.

 

이 발명은 유연성 폴리올, 결정성 폴리올, 높은 함량의 하드세그먼트, 필러, 여과성 가소제 및 기타 첨가물을 함유하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포함하는 반응성 핫멜트(RHM)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경화 전에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사용을 위해 낮은 융점과 용융점도를 나타낸다. 또한 경화가 진행하는 동안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여러 가지 표면에 우수한 결합 강도를 나타내며, , 제빙유체, 유압유 및 윤활유체를 포함하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에 노출된 후에도 접착력, 형상 및 밀도를 유지한다.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의 국내 개발 현황을 보면 동성엔에스씨, ()화승티엔씨, ()오공 등이 국내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나 일본, 독일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 관련 기업이 경화반응에 있어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고 가교 후에 유연성이 증가하며, 유해한 이소시아네이트 증기가 없는 핫멜트 접착제의 개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저자
Luna innovations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02699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