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용 접착기술의 최근 동향

전문가 제언

자동차 구조의 경량화는 그의 저연비화와 CO2 삭감의 관점으로부터 요즈음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2020년대 초기에는 승용차의 연비를 평균으로 20~23km/L까지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차체의 경량화가 주요한 제품개발로서 주목되고 있다. 차체중량과 연비간에 강한 상호관계가 있으며, 이것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용 도료 및 도장공정 기술개발에 있어서 가장 큰 쟁점은 더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 더 낮은 비용과 더욱 환경 친화적인 도장공정을 구현하는 기술개발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환경문제는 소비자의 관심과 요구수준이 높을 뿐만이 아니고, 세계 각국에서도 이와 관련된 규제를 제정하고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자동차용 도료의 경우, 소비자의 감정적인 욕구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엄격한 수준의 외관특성 및 내구성이 요구되며, 이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여러 단계의 도장공정을 거치면서 각 공정에서 부여되는 특성이 종합되어 자동차용 도막으로서 최종물성을 발휘하게 된다.

 

현재, 자동차 생산에 있어서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자동차 도장공정은 매우 복잡한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장공정에서는 세척 및 전처리 공정(Pretreatment), 중도(Primer), 상도 베이스코트(Base coat), 상도 클리어코트(Clear coat) 등의 복잡한 연속공정을 통하여 최종도막을 구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러 단계의 도장공정은 각 단계별 대형 도장공정과 다양한 설비 및 많은 인력 등이 필요한 비친환경적이고, 노동집약적인 공정으로서 자동차 생산공정 중에서 가장 비효율적인 공정이다.

 

그러나, 자동차 선도장 컬러강판기술은 기존의 비친환경적 자동차 습식도장공정을 고속 롤코팅 공정으로 대체하는 기술로서, 선도장 된 컬러강판을 후가공하여 커팅 및 스탬핑한 후, 외장이나 내장 모듈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기존의 비친환경적 자동차 습식 도장공정을 타파하고, 친환경적이고 효율성이 높은 혁신적인 도장공정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Chiaki SA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4~38
분석자
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