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 건축폐기물의 연료화와 생성물 성분의 물질수지

전문가 제언

산업건축물 및 전기·전자 해체폐기물(C&D waste)에서 만들어내는 SRF(폐기물회수고형연료)는 저농도의 오염물질과 잠재적 독성 성분(PTEs: Potentially Toxic Elements) 및 염소 등을 함유하는 고형 연료이다. 이러한 SRF는 근적외선(NIR) 분류기술과 같은 현대의 첨단 분리기술에 기반을 둔 물리학적, 기계적 처리로 생산하고 있다.

 

SRF가 갖춘 요소 성분의 질(quality)에 대해 산업적 규모의 SRF 제조 프로세스에 따른 구성 성분의 물질수지에 의해 평가한 결과, SRF의 생산에 투입되는 전체 염소(Cl)48wt%SRF와 동반하여 생성되는 불요폐기물에 잔류했다. 또한 유해중금속의 수은(Hg)은 그 유입량의 64%wt%SRF와 동반해 생성되는 미량재료분에 잔류했다.

 

SRF 제조 프로세스에 유입되는 납(Pb) 성분은 그 45wt%SRF와 동반해 생성되는 불요폐기물에 잔류했고, 44wt%는 미량재료분에 잔류했다. 독성 성분의 비소(As)SRF 제조 프로세스에 유입되는 전체량의 42wt%가 그 미량재료분에 잔류했다. 또한 유해중금속 카드뮴(Cd) 성분은 그 68wt%가 그 중량재료분에 잔류했다.

 

C&D 폐기물 중의 폐고무류와 경질 폐플라스틱류에는 염소(Cl) 함량이 각각 7.6wt% 7.0wt%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경질 폐플라스틱류에는 다른 구성 성분보다는 훨씬 높게 납(Pb) 성분이 880mg/kg 함유되어 있다. 더욱이 폐섬유에는 여타 구성 성분보다는 상당히 높게 비소(As) 성분이 12mg/kg 함유되어 있다.

 

C&D 폐기물 중에서 PVC-폐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폐플라스틱류, 고분자 폐고무류, 합성고분자 폐섬유류 등은 잠재적 오염원 및 잠재적 독성 성분(PTEs)일 수 있으므로 SRF 제품에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SRF 플랜트를 설계하고 건설할 시, 우리의 주변 환경에 지천인 간벌재, 잡목, 잡초 등의 바이오매스와 병용해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저자
Muhammad Nasrullah, Pasi Vainikka, Janne Hannula, Markku Hurme, Jukka Koskin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9()
잡지명
Fue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0~288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