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플라스틱 고형폐기물 연료화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특성과 리스크 평가

전문가 제언

산업폐기물의 플라스틱 고형 폐기물(PSW)을 연료화하는 용융사출 공정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당해 공정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와 인근 주민에 대해 건강 리스크를 미칠 수 있다. PSW의 물리학적 연료화 공정인 용융사출 공정에서 발생되는 VOCs는 알칸류, 알켄류, 모노방향족, 산소화-VOCs(OVOCs), 염소화-VOCs(ClVOCs), 아크릴로니트릴로서 총 64종이다.

 

건강 유해물질의 VOCs가 많이 방출되는 용융사출 공정으로는 ABS> PS>PP>PA>PVC>PE>PC 공정 순이다. 모노방향족은 ABSPS 용융사출 공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알칸류는 PPPE 공정에서, OVOCsPVCPA 공정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플라스틱 고형 폐기물(PSW) 연료화 공장의 작업환경 노출기준(OEL)에 의거하면 ABS PS 용융사출 공정에서 작업자와 근로자는 급성 및 만성 건강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고, 작업환경에서 TVOCs의 최고농도는 ABS 공정보다는 PS 공정에서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PSW의 용융사출 공정에서 많이 발생되는 TVOCs의 농도는 VOCs와는 달리 PS>PA>PVC>ABS>PP>PE>PC 공정의 순서로 많이 발생되고 있다.

 

-발암성 리스크(non-cancer risk)에 있어서는 PS 용융사출 공정에서만 작업자와 근로자의 건강 유해성 지수(HIs)1.0 이상으로 평가되었지만, PS 용용사출 공정의 작업자와 근로자 및 인근 주민의 급성 및 만성적 건강 리스크에 대비하도록 경고하고 있다.

 

PSW를 연료화하는 PS, PA, ABS, PVC 용융사출 공장 인근 주민의 생애 발암 리스크(lifetime cancer risk)10-4 단위 이상으로, 인근 주민에 대한 발암 리스크가 분명히 존재하므로 PSW의 용융사출 공정에 대한 작업자와 근로자 및 인근 주민의 비-발암 유해성 관리와 발암 유해성 관리에 대한 국소 배기 및 그 공학적 대책을 확실하게 수립하여 이행해야 한다. 한국에서도 PSW 연료화 플랜트의 설계 및 건설 시에는 이에 대한 개인방호구 대책과 공학적 대책을 확실히 해야 한다.

 

저자
Zhigui He, Guiying Li, Jiangyao Chen, Yong Huang, Taicheng An, Chaosheng Zh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7()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5~94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