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전지산업을 위한 유리수요 전망

전문가 제언

본 논문은 태양전지의 성장 전망이 광산업에 대한 유리의 수요가 현재 유리공급을 크게 초과하여, 향후 20년 후에는 수천 개의 플로트유리 공장이 필요하다는 획기적인 예측을 제시하였다. 플로트공장에서 저 철분함유 유리나 붕규산 유리등을 생산할 수 있으면 고품질의 태양전지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였고 향후 계획과 투자가 필요함을 기술하였다.

 

최근 태양광발전 시장은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원재료를 비롯한 부품 소재 가격 하락과 중국의 저가전략으로 과잉생산 현상이 있었다. 2016년 이후 태양광 발전단가가 화석연료와 같아지는 시점이 되면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태양광 발전시장 규모는 세계 시장대비 5% 내외로 협소하나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따라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 200여개 업체가 소재, 디바이스, 모듈, 시스템, 운영부문에 참여하고 있으며 수출 비중이 약 60%에 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 우위를 차지하기 위하여서 1세대 태양광 기술인 결정질 실리콘 분야는 투자를 통하여 원가절감 공정개발에 치중하여야 한다. 또한 고 효율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집중투자와 출연 연구기관과 대학은 차세대 박막분야 등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국내 판유리제조 기업은 플로트 판유리 제조회사가 2개사로 총 플로트라인 수는 2011년 기준 9개가 가동 중에 있으며, 연간 160만 톤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생산제품이 건축용과 자동차용 유리이며 퓨전공법의 기판유리 회사는 주로 디스플레이용 유리를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향후 급격히 신장할 광산업 유리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서는 먼저 정확한 수요예측과 투자규모에 대한 정부 차원에서 조사연구 및 전략수립이 요망된다.

 

저자
Keith Burrows , Vasilis Fthenaki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132()
잡지명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5~459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