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협업을 위한 접근 제어 모델
- 전문가 제언
-
○ IoT(사물인터넷)는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미국 벤처기업 코벤티스가 개발한 심장박동 모니터링 기계, 구글의 구글 글라스, 나이키의 퓨얼 밴드 등도 이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특히 심장박동 모니터링 기계는 사물인터넷의 대표적인 예로, 부정맥을 앓고 있는 환자가 기계를 부착하고 작동시키면 심전도 검사 결과가 자동으로 기록돼 중앙관제센터로 보내진다.
○ 접근통제(Access Control)는 자원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을 감시하고, 접근을 요구하는 이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접근 요구가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 기록하고, 보안정책(Security Policy)에 근거하여 접근을 승인하거나 거부함으로써 비인가자에 의한 불법적인 자원접근 및 파괴를 예방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행정적인 관리(Administration)를 의미한다. 접근통제는 각 자원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및 합법적인 이용과 같은 정보보호와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들의 권한부여를 위한 수단이다.
○ 김민식, 이은민은 2014년 정보통신방송정책지에 “IoT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시키는 기술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ICT 공급측면에서 복잡한 IoT 기술구성요소를 연계·통합하는 역할과 이러한 IoT 기술을 다양한 활용시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매개 또는 촉진하는 조력자 역할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 IoT에 발전에 따라 자동차 시장도 Smart Car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2010년대 말경에는 Smart Car시장이 활발해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종상(한양대학교)은 2015년에 “ARM 계열 Cortex-M4의 MPU (Memory Protection Unit)기능에 보안 레벨을 적용시켜 특권 사용자에게만 특권 권한을 주는 방식을 연구하여 발표하였다. 만약,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가 침입했을 경우에는 기능이 멈추게 하는 방식이며, 이 방식을 Smart Car 내부 네트워크(CAN, Ethernet)에 적용시켰다.” IoT의 접근에 보완되어야 할 보안 관련 연구에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저자
- Mehdi Adda, Jabril Abdelaziz, Hamid Mcheick, Rabeb Saa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2()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28~435
- 분석자
- 심*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