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북극권 대기의 수은 오염도 분석: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제언

확산이론의 발전과 컴퓨터 계산능력의 향상, 기상데이터 및 지표특성 데이터들의 세분화로 대기확산 모델링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영향평가나 대기 질 관리대책 수립에 모델링 결과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수은과 같은 중금속의 대기확산 모델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배출원(emission source) 정보, 지형특성 데이터, 기상데이터 뿐 아니라 수은의 생물지구화학적(biogeochemical) 특성에 관한 입력정보들의 정확성이 중요하며, 이러한 입력정보들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수은 화학종들에 대한 환경 내 거동을 모사한 실험 데이터들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주로 미국에서 개발된 대기확산 모델들을 보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학계의 대기환경분야에서는 소각시설, 산업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대기확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한국 원자력 연구원을 중심으로 방사능 물질의 대기확산 모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대기확산 모델 연구는 환경영향 평가나 오염물질 누출사고에 의한 피해예측에 활용하기 위한 국지적 확산모델 연구가 대부분이며, 중금속과 같은 오염물질의 국가간 장거리 이동이나 전 지구 확산모델에 관한 연구사례는 빈약한 실정이다.

 

앞으로 국내의 지형특성과 기상조건에 적합한 대기확산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대기오염 측정망의 실측 데이터와 정보기술을 대기확산 모델에 접목하여 실시간 모델링 결과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대기 질 관리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의 대기 질과 환경오염은 국내 오염 배출원 뿐 아니라 인접한 국가들의 오염 배출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세먼지나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들의 장거리 이동/확산에 관한 모델 연구가 국내에서도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저자
Ashu Dastoo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09()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27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