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항바이러스 자연면역에서의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전문가 제언

미토콘드리아(일명 絲粒體)는 진핵생물의 세포 내의 중요한 소기관으로 초기에는 세포(생명)의 활동에 필요한 고 에너지 화합물인 ATP합성과 같은 세포 내 발전소의 역할과 Apoptosis 기능 등이 주 연구대상이었다.

 

항원을 인지하는 패턴에 따라 항원종류와 상관없이 선천적인 활성을 가져 다양한 종류의 모든 항원과 반응(항원 기억력은 없음)하는 비 특이적 면역반응시스템인 자연면역 또는 선천성면역(Innate immunity) 시스템이, 특정 항원에 대해서만 반응(항체 생성)하고, 항체는 항원 수용체를 갖고 있는(항원 기억력보유)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겠다.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면역(항원) 수용체나 세포 내의 시그널 인식과 전달 경로의 규명은 각종 면역성 및 염증성 질환만이 아니고, 자가(자기)면역성 질환 등의 치료제개발과 질병예방 프로그램 개발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동물의 선천면역계에는 PRRs(Pattern-Recognition Receptors)가 존재해 자신은 없으나 병원체 공통의 특정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 PAMP)을 인지하는 시스템인 TLR(TLR-3)으로 10여종이 발견되어 있다. TLR-3은 세포의 바이러스의 dsRNA를 인식, RLR경로에서는 세포질 내의 dsRNA를 인식해 자연면역반응을 일으키나 dsDNA 등과는 반응(결합)하지 않는다는 사실 역시 바이러스 질환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면역 못지않게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의 PB1-f2만 하더라도 바이러스의 자연사 유도에 관여한다. 물론 미토콘드리아에만 존재하는 사실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한 후 생성되는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억제 또는 증강 등)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면 새로운 치료제개발 등 활용 범위가 무한할 것으로 생각된다. 동시에 각종 시그널을 둘러싼 새로운 정보 분석과 미토콘드리아의 정상 기능유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로 새로운 개념의 면역력 향상에 기여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자
Takumi Koshib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4(6)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71~575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