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카고의 도시열섬효과와 기후변화: 역학적 규모 축소 방법의 적용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폭염(heat wave)이 인류의 건강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높아지고 있다. 폭염의 원인인 도시지역의 열섬효과는 기후변화와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에 대한 조사연구로 시카고 도심지역의 열섬현상을 다양한 기후예측 모델을 이용한 앙상블 방법으로 모델 망(nesting)을 구축하여 평가하였다.

 

기상청에서는 기상예보로 3, 6시간예보, 단기예보, 주간예보를 통해 최고 및 최저기온, 강수확률, 날씨를 예보하고 있으며, 1개월 예보, 계절 예보, 6개월 예보는 대체적인 날씨 예보와 더불어 기온과 강수량을 평년과의 비교값으로 예보하고 있다. 생활 기상정보로 체감온도, 부패지수, 열파지수, 자외선 지수 등의 보건위생에 관한 기상정보와 강수효과비, 증발량과 같은 산업 기상정보, 그리고 난방도일, 동파지수 같은 에너지기상 정보와 산불 발생확률, 실효습도와 같은 화재 관련 기상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구예보모델(CAM 200km 분해능)과 중 규모 예보모델(WRF model; Weather Research & Forecast Model)2m 격자 분해능의 미기상모델(ENVI-met)을 접합하여 시카고 도시지역 열섬현상을 예측하였다. WRF 모델의 열섬현상 예측은 지구온난화 대표 농도경도 RCP8.5의 시나리오를 815-19, 5일 기간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열섬현상에 대해서는 도시빌딩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열수지와 도시협곡을 가로지르는 바람장 변화와 미시건호수의 수증기와 호수바람이 시카고 도시 중심지역(CM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이다. 그 결과 미래 8월의 시카고 기온은 도시지역의 에너지와 자동차 사용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불안정한 열섬현상을 나타내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에 수평분해능이 55km, 연직층수 30층으로 개선된 전지구모델과 33층의 지역기후모델을 도입하여 앙상블예보(16 member)를 운영하고 있어 시키고 지역의 열섬 사례와 같이 두 모델을 규모축소 방법으로 접합하고 미기상모델 ENVI-met을 도입하여 서울의 열섬현상을 조사 예측할 수 있다.

 

저자
PATRICK CONRY,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4()
잡지명
Journal of Applied Meterology and Climat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30~1448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