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GC/MS를 이용한 화학작용제 식별
- 전문가 제언
-
○ 화학작용제를 탐지/식별하기 위한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화학분석 장비는 일반적으로 이동 실험실(mobile laboratory)이나 차량에 탑재하여 운용되었으나, 이를 휴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소형화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앞으로 화학작용제 뿐 아니라 산업 독성화학 물질, 불법 약물, 폭발물의 현장 검증에 GC/MS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성화될 것이다.
○ 그러나 휴대용 GC/MS 탐지/식별 장비는 기존의 탐지튜브나 이온이동도 분석법(IMS: Ion Mobility Spectrometry)을 사용한 현장 탐지/식별 장비들에 비하여 탐지/식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가격이 고가이며 유지보수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GC/MS 탐지/식별장비가 기존의 탐지/식별 장비들을 대체하기보다 최소한의 운용수량으로 이들과 상호보완적으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대기 중에는 화학작용제의 GC/MS 분석 감도(sensitivity)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동차 배기가스, 휘발성 유기화학물질, 기타 대기환경 오염물질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 간섭물질(interference matrix)들이 화학작용제 탐지/식별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결과가 필요하다.
○ 최근 일본 INFICON 사에서 개발된 휴대용 GC/MS 탐지/식별 장비, Hapsite ER은 미국, 유엔의 화학무기금지기구(OPCW) 등에 보급된 사례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기관에서 유해화학물질 사고나 화학테러에 대비하여 수입, 운용되고 있다.
○ 현재 IMS 방식의 휴대용 화학작용제 탐지식별기의 탐지/식별 감도를 높이고 오경보(false alarm)를 줄이며 이온화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성능개선 연구들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IMS와 GC/MS를 적용한 화학작용제 탐지/식별 software 기술 능력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GC/MS 방식과 IMS 방식의 장단점 분석과 미래 전장 환경을 고려한 탐지경보체계의 수립을 토대로, 국내 운용환경에 적합한 휴대용 탐지/식별 장비 개발계획이 수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저자
- Hisayuki Nagashim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406()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79~290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