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오염이 소아의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멕시코시티 수도권 지역의 사례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서도 대기 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고 예방의학 분야에서 미세먼지를 비롯한 질소산화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으나, 주로 호흡기 질환이나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 대기 중 PM2.5이나 PM10과 같은 미세먼지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대기 중 농도뿐 아니라 구성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인구집단의 성별 및 연령특성, 소득수준 등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영향인자들을 고려하여 건강영향 평가(health impact assessments)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앞으로 국내에서도 대기 중 미세먼지뿐 아니라 실내 환경에서 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이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코호트 연구(cohort study)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대기 오염에 취약한 어린이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미세먼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건강에 더 큰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직경 100nm 미만의 초미세입자(Ultrafine Particle, UFP)에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PM2.5이나 PM10 미세먼지와 구분하여 UFP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대기 오염에 의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도 대기 오염실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개인들에게 까지 쉽게 전파될 수 있는 체계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
○ 또한 선진국에서와 같이 여러 대기 오염물질들을 통합한 오염농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설정한 대기 질 건강지표(air quality health index)를 마련하여 대기 환경기준과 별도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대기 오염물질들의 건강영향 평가결과들이 대기 환경기준에 반영될 수 있어야 한다.
- 저자
- Lilian Calderon-Garciduena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37()
- 잡지명
- Environment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57~169
- 분석자
- 양*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