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미세입자의 무기 이온 성분 측정과 대기질 모델의 성능평가
- 전문가 제언
-
○ 2014년 서울시의 초미세먼지(PM2.5)의 평균값은 24㎍/㎥으로서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인 10㎍/㎥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미래부에서도 2014년부터 3년간 170억 원의 연구비를 투입하여 초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초미세먼지 기준치는 연간 평균 25㎍/㎥, 24시간 평균치 100㎍/㎥로서 WHO의 기준치인 각각 10, 25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며, 작년 서울의 평균치는 WHO 기준은 물론이고 선진국보다 크게 높아 초미세먼지에 의한 악영향이 우려된다.
○ 이를 위해 대기질 예보시스템을 두어 실시간 예보를 실시하고 2003년부터는 CAPSS(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인벤토리를 개발하고 2007년부터는 여기에 분진이나 바이오매스 등 미세입자까지 반영하고 있다.
○ 대기질 모델링에는 WRF V.3.1과 CMAQ V.4.6이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대부분 PM10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연구가 되어 있는 상태이며 초미세먼지인 PM2.5 에 대해서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 초미세먼지의 악영향을 줄이려면 PM2.5 의 구성성분 가운데 비율이 큰 성분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며, PM2.5 의 특성을 파악해야 효과적인 저감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그동안 질량농도 기준에서 성분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최근 서울지역의 PM2.5 이온성분은 평균 43.6%로서 이 가운데 SO4이온, NO3이온, NH4이온이 40.7%를 점유하고 겨울철이 다른 계절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 다만, 이러한 수치모델의 예측정밀도를 높이려면 측정값과의 상세비교를 통하여 검증 신뢰성을 높여가야 하며, 측정 시에도 전구가스의 휘발 및 건성 침착속도 등에 대한 계속 연구로 모델링과 실측치의 갭을 줄여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Tatsuya SAKURAI, Shinsuke SATAKE and Kazuhide MATSU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30(2)
- 잡지명
- エアロゾル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4~141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