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지산업의 폐수처리 기술개발 동향

전문가 제언

제지산업폐수에는 대부분 타닌, 리그닌, 레진, 염화물, COD, TSS, 질소화합물 AOX 그리고 표백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화합물 등이 존재한다. 그로 인하여 제지산업은 물, 공기 그리고 토양 등 환경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수생어류 독성, 수생어류 호흡지장, 돌연변이, 간 손상 등의 피해를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지산업폐수는 NBDCOD(Non-BioDegradable Chemical Oxygen Demand) 성분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 섬유질, 리그닌, 페놀성 화합물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활성슬러지 공정만으로는 만족스러운 처리가 어렵다. 특히 제지산업폐수는 공정수가 많이 소요되고, 그에 비례하여 폐수 방류량도 많은 실정이다.

 

본 보고에서 주목을 모으는 것은 생물학적 처리(Biological treatment)로서 호기성처리(aerobic process)와 혐기성처리(anaerobic process)의 비교인데, 전자는 슬러지가 많이 발생하여 슬러지처리장치로부터 GHG 배기가스가 많이 배출하는 반면에, 후자는 슬러지 발생이 적어 산소소비가 적고 GHG 배기가스가 적은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 미국, 일본, 독일, 스웨덴 다음으로 연간 종이생산량 1,133만 톤(2012)을 기록하여 세계 6위에 올라 있다. 종이생산은 전통적으로 삼립이 풍부한 북미, 북유럽권에 집중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고지의 재활용에 힘입어 기타 종이생산과 소비가 견실한 국가들이 활발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펄프제지산업의 발전과 생산량의 증대는 국가경제에 호재로 작용하겠으나, 지구온난화에 대비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혼연일체가 되어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년까지 배출전망치(BAU) 대비 37%감축)에 달성을 위해 GHG감축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Omid Ashraf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8()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6~157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