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서로 다른 상 간의 상호작용으로 본 표면처리 기본기술

전문가 제언

접착 작업은 누구라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가, 어느 대상을 어느 정도 접착시키고 싶은가 등의 욕구가 접착제의 고성능화, 다기능화, 접착에 관련한 과학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과거의 접착 개념과는 다른 접?점착제가 고안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밀접히 관련이 있는 계면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접착과 계면의 관계에만 국한시키면 가장 중요한 계면화학물성은 “젖음성(wettability)"이다.

접착분야의 표면처리는 젖음성으로 대표되는 재료표면?계면의 성질을 본래의 그것으로부터 변성, 제어함으로서 취급되는 상호작용을 강화?감퇴시켜 결과적으로 접착성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다. 접착 메커니즘에는 분자 간 응집력, 산?염기 반응, 접합(앵커 효과) 등 6개 정도 제창되고는 있다. 본 문헌에서는 젖음성과 산?염기설에 기초한 접착 계면의 상호작용에 관점을 둔 표면처리에 대한 사고방식을 서술하였다.

접착력(점착력)은 목적과 사용 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야 되는 것이다. “접착강도” 발현에 있어 접착제/피접착체 계면의 물리화학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동일한 접착제와 피접착체의 조합에서도 접착제층(벌크층)과 피접착체층의 변형과정과 파괴 거동이 다르면 얻어지는 “접착강도”의 값은 크게 다름을 경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착강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화학”뿐만 아니라 “역학”, “기계공학”으로 보는 해석이 필수적이다.

다채로운 응용이나 신규 접착제가 개발되고 접착 분야의 충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거기에 전개되고 있는 접착이론의 본질은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표면?계면 해석기술과 나노기술의 진보가 현저하다. 표면?계면을 원자 레벨?나노 오더로 관찰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것으로부터의 접착을 말하기 위해서는 이들 주변 기술의 진보에 보조를 맞춰 접착을 새로운 시점으로 과학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저자
Shinya Takaha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51(4)
잡지명
日本接着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1~137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