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시아네이트 2량체 열분해를 이용한 새로운 열가공형 점착제
- 전문가 제언
-
○ 최근 들어 고전적인 접착제는 이미 감소가 고착되었고 기능성 및 친환경성 접착제가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용제계 접착제 대체용인 수용성 접착제,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가 안정된 생산량을 유지하고 있다. 환경대응형 산업 형태가 이미 업계에서도 정착되고 있다 할 수 있다. 감압접착제, 이른바 점착제의 생산량은 아크릴계가 고무계 등과 비교하여 큰 회복을 보이고 종류별로는 최대량을 나타내고 있다. 탄성변형을 갖출 필요가 있는 액정패널 등의 라미네이트 접착에 안정한 성능을 제공하는 용도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 본 문헌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 2량체의 열해리에 기초한 새로운 메커니즘의 열가공형 점착제를 제안하였다. 반응 메커니즘의 확인,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의 결점인 내열성, 내용제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가공성에 영향을 주는 가열 시의 유동성에 대하여 조성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과 함께 본 메커니즘의 공업화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기를 활용하여 연속적으로 시트화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 점착제에서는 부착 후 바로 접착성이 발현되는 점, 접착제의 두께가 박막으로 정밀하게 잘 관리될 수 있는 점, 재박리가 가능한 점 등의 이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점착제는 짐 포장용 테이프, 양면테이프, 라벨, 결속 테이프로부터 의료용 반창고, 부착제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 용도나 특화된 점?접착제 분야는 점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TSP용,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점?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종 소재 간 결합과 접착기술 복합기능을 구현하는 소재, 생분해성 등 환경대응형 소재 등이 주목받고 있다.
- 저자
- Kazutaka Asa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2)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9~57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