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GLT2 억제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전망

전문가 제언

신장은 염분과 각종 이온의 조절과 배출기능 외에도 포도당 생성과 재흡수에 의해 포도당의 항상성 유지 역할을 하고 있다. 신장 내의 포도당 전달(수송)SGLT에 의하나, 막 단백질의 일종인 SGLT2 종류로 장관에서 주로 발현되는 SGLT1이 포도당 재흡수의 10%, 주로 신장에서 발현되는 SGLT290%의 포도당 재흡수를 하고 있어 SGLT2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소변으로 포도당배출을 증가시켜 혈당조절제로의 SGLT2억제제 개발은 큰 성과로 여겨진다.

 

음식물 섭취 시에도 주로 회장의 L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즉GLP-1(Glucagon-Like Peptide-1)과 소장에서 분비되는 GIP로 혈당조절이 가능하나 혈중의 DPP-4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GLP-1의 혈중 반감기는 1-2, GIP(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eptide는 약 7)되어 불활화 되는 현상에 착안해 DPP-4에 가역적이고 경쟁적으로 부착하여 DPP-4 억제 효과와 GLP-1의 분해를 지연시킨 DPP-4억제제의 개발 역시 새로운 기전의 당뇨병 치료제로 각광받고 있다.

 

SGLT2 억제제는 신 세뇨관에서 포도당을 재 흡수해 혈류로 들어가는 과정을 차단해 혈당과 체중을 조절하고 덤으로 혈압까지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로 저혈당 쇼크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점과 DPP-4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는 치료제로 알려져 있으나 다소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아쉬움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요로감염 특히 외음질염(Vulvovaginitis))과 구역질, 어지러움, 피부 발진과 혈중 크레아티닌 상승 등이 국내에서도 알려져 있어 투약 전 충분한 사전 설명(병용 포함)과 부작용 발생 시의 대처 방법을 알리고, 복용환자에 대한 전체적인 역학 조사와 검증을 서둘려 환자별에 맞춘 투약 지도와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엇보다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SGLT2 억제제개발(보완)을 서둘려야 하겠지만, 환자 상황 별의 대사과정 패턴에 맞춘 개선과 당뇨병 예방에 맞춘 식이요법 모델 개발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ara Nobiichi, Inegaki Shuy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66(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096~2103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