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기질에 대한 위성 관측시스템 모의실험(OSSEs)

전문가 제언

위성의 환경탑재체는 초고가에 걸맞게 신속 정확한 관측자료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 관측시스템모사실험(OSSEs)으로 사전 평가해야 한다. 미국의 TEMPO(2017), 유럽의 Sent Inel-4(2019)에 대한 OSSEs 연구는 2009년부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의 KOMPSAT-2B(2018)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 KOMPSAT-2B의 환경탑재체(분광해상도 0.6nm, 초분광 UV/VIS 영상)는 미국의 BATC와 공동개발로 O , CO, PM2.5, NO , HCHO와 온실가스를 고도 3km 이하의 연직변화를 연속 탐지하므로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대응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다. 대기 질 OSSEs을 통하여 관측장비의 가치창조를 검증평가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원문은 GEO 위성에 탑재할 미래 환경관측장비의 가치창출을 평가하는 대기 질 OSSEs4단계 방법과 기상 OSSEs과의 차이점 그리고 대기 질 OSSEs에 적용하기 위하여 필요한 연구사항 및 검/보정 등 대기 질 OSSEs 연구의 지침이 되는 사항을 제시한 것이다.

 

- 미래 위성의 관측장비 평가는 실제 대기상태에 가까운 실제관측운(NR), 합성관측과 여러 모델에 의한 제어관측운용(CR) 및 최신 자료동화기법에 의한 관측운용(AR)의 모의관측실험결과를 비교하여 (AR-NR)<(CR-NR)이면 가치를 창출하는 장비로 평가한다. OSSEs는 매우 복잡하지만 저비용으로 위성과 같이 대기 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위성의 관측장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기술이다.

 

GEO 위성관측도 정확성과 해상도에 한계가 있고 고비용이므로 선진국들은 다목적 항공관측을 겸용하여 지상, 선박과 위성의 관측 자료와 함께 활용하여 돌발적 사태를 신속 대처하고 있다. 기상청은 2016년에 1대의 다목적 항공기를 도입할 계획이므로 예보의 질 향상이 기대된다.

 

2022년이면 6기 이상의 GEOs가 전 지구의 여러 분야를 모니터링하게 되어 우주경쟁시대가 열리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관측 장비 등 핵심기술이 부족하므로 인재양성과 장비개발산업의 육성이 시급하다.

저자
R.M.A. Timmerman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15()
잡지명
Atmospheric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9~213
분석자
박*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