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할로스에 의한 젖소의 산화스트레스 감소와 고품질 우유의 생산기술
- 전문가 제언
-
○ 2당류로서 트레할로스는 항산화활성을 가진 물질로 알려져 있다. 닭이나 대용유 등의 가축용 사료 첨가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젖소에서는 섭취한 사료가 루멘 내에서 미생물의 분해를 받아서 트레할로스의 항산화활성이 생산물인 우유에 함유되기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 사료에 트레할로스의 첨가가 루멘 발효를 촉진하고 우유 생산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우유의 과산화지질 농도 저하와 항산화활성 상승을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트레할로스의 이러한 작용 메커니즘은 루멘 내의 미생물을 통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 젖소에 트레할로스의 급여는 부가가치를 가진 항산화우유의 생산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을 통하여 생체제어 등의 응용기술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 트레할로스 급여 시의 우유 항산화메커니즘은 젖소에 트레할로스가 섭취된 후 루멘 미생물, 특히 원생동물(protozoa)의 수를 높여서 루멘 내의 SOD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생체 내의 산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우유 중의 항산화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루멘 미생물 중에서 원생동물은 생산에 있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연구자가 있었으나 트레할로스의 항산화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 지금까지 비타민 등의 항산화물질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감소 영향과는 다른 젖소의 항산화스트레스 저감에 루멘 원생동물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 국내에서는 젖소사료와 관련된 트레할로스 연구는 아직 없으며 트레할로스 첨가량과 저장시간에 따른 양갱의 품질 특성[정효선 등, 한국조리학회지 20(3), 2014, 113-124], 트레할로스와 당류가 냉동요구르트의 저장 중 유산균 생존율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우성호 등, 산업식품공학회지 14(1), 2010, 1-20] 등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 저자
- Sato Kan, Aoki Nao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3)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4~20
- 분석자
- 강*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