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두의 가공형태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 흡수량 비교

전문가 제언

대두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은 여성호르몬 β-estradiol과 유사하며 항산화작용과 에스트로겐 작용이나 항에스트로겐 작용을 나타낸다. 최근 대두 isoflavone의 한 종류인 daidzeingenistein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식품을 연속 섭취하면, 여성 호르몬 유발성 유방암 위험과 폐경 후 자궁내막암이 경감되며, 골밀도 감소, 탈모 진행, 혈관내피 기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고에서는 대두의 가공형태에 따른 이소플라본의 생체이용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유, 두부, 콩조림, 낫토 등 4가지 대두 가공식품의 섭취 후 혈장 이소플라본 농도의 변동에서 생체흡수성을 비교한 결과, 섭취 90분 후 두유두부보다 낫토에서 daidzein의 혈장농도 상승치가 높았고, genistein의 혈장 농도는 두유콩조림이 두부낫토보다 높았다.

 

또한 혈장 중 다이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합계를 총 이소플라빈 농도로 간주하면, 콩조림의 이소플라본 흡수율이 두유두부낫토에서보다 높다. 그러나 이 실험의 결과는 피험자 5인으로 너무 적고, 각 가공품의 원료인 콩 품종이 다른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 이소플라본 흡수성은 가공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콩의 isoflavone 성분인 daidzeindaidzin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대장암 세포주에서 genisteindaidzein의 병합처리에 의한 상승적인 세포독성 효과(손성민, 2009), 아임계/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콩에 포함된 daidzeingenistein의 추출특성(최두영 등, 2005),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흰쥐에서 daidzeingenistein의 뇨와 변 중 배설에 미치는 영향(남혜경, 2004), 전립선 건강에 대한 equol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배우철, 2014) 등이 있다.

 

콩을 주원료로 한 된장, 청국장 등은 항암효과, 간 기능 강화, 항산화 효과, 고혈압 효과 및 전립선 성장 둔화 등이 밝혀지고 있으나 일상 섭취량으로 이러한 생리기능이 발휘되는지 또한 가공형태별 이소플라본의 흡수율을 비교할 수 있는 대규모 섭식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Bando Norik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8(1)
잡지명
日本榮養食糧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29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