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C 공작기계의 에너지 소비 절감 방안

전문가 제언

지구환경 보전 및 소형 경량화와 같은 사회적 대응 기술과 연계되는 에너지 절감 기술은 가전제품 및 자동차 산업 등에서는 많은 발전을 하여왔다. 반면에 공작기계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현상이다. 그러나 공작기계 기술은 고속 고정밀도화 뿐만 아니라 고기능화 및 지능화 면에서는 커다란 발전을 하여 왔다. 이를 바탕으로 한 공작기계 각 부품의 품질이 정해진 규정을 만족하게 되면, 최종 제품인 공작기계의 소비 에너지 절감과 직결된다.

 

머시닝센터와 같은 대형 공작기계는 자동차 및 항공기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금형에 의존하는 각종 소비재 생산에도 필수적인 요소로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도가 높다. 이들 부품을 만들기 위한 금속 절삭가공에는 높은 수준의 에너지가 소비된다. 참고적으로 머시닝센터 한 대의 평균 소비전력을 조사해 보면 가정용 냉장고 200여대의 소비전력과 맞먹을 정도로 많은 에너지 소비를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이다.

 

우리나라도 지금까지 생산효율과 내구성만 따져왔던 공작기계 분야에서도 친환경 바람 속에 에너지 절약에 초점을 맞춘 공작기계의 수요가 본격화 되고 있다. 업계에서도 내구성을 강조해서 필요 이상의 대용량 모터를 사용하고 부품도 튼튼함만을 강조해왔다. 절삭가공 중에도 유닛별로 전원 차단 기능이 없어 부하가 걸리지 않는 구동축도 무조건 동작하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 지구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에너지 파동을 겪으면서 공작기계산업에서도 에너지 절감의 친환경 공작기계 보급을 적극 권장하게 되었음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 공작기계업계도 세계 시장의 변화를 바르게 보고 소비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장비 개발에 대한 산학연 공동의 R&D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 지원을 포함한 중장기 로드맵도 수립하여 이에 의한 효과적인 활동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 공작기계는 시장에서의 기능과 품질은 평준화 되어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친환경 개념을 도입하지 않은 업체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어려워 질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Akio Hayashi, Hironori Kashiwagi, Ryuta Sato, Keiichi Shiras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81(5)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29~434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