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 주목받고 있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는 종래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고 있던 여러 가지 네트워크 기능(방화벽, NAT, EPC 등)을 범용 서버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한 것이다. 또한 신속한 서비스 제공과 수요에 따른 유연한 자원 할당으로 투자 및 운용비용 삭감 등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NFV에 대해서 ETSI NFV ISG에서 논의되고 정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의 등장 배경과 개념 및 장점을 소개하고 통신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유스케이스를 설명한다.
○ NFV 기술은 아직은 해결해야 할 많은 기술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가장 큰 문제의 하나는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로 인해 기존 네트워크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기존 네트워크와 상호 호환성 및 인터워킹(interworking), 가상화 네트워크의 확장성, 관리, 보안 등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더욱 검토가 필요한 이슈는 NFV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신규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이라 할 수 있다.
○ NFV가 차세대 네트워크로 부상하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업체 간 경쟁 역시 치열해지고 있다. 브로케이드, 시스코, 알카텔-루슨트, 주니퍼 등 세계적 기업들은 이 기술이 구현될 시기를 예측하여 NFV 확산의 핵심요소인 가상 라우터 시장 선점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아이엔소프트, 나임네트웍스, 다산네트웍스 등 국내 업체들 역시 한국형 NFV 솔루션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서는 등 시장 경쟁에 가세하고 있지만 세계적 기업들에 비해 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 업계에 따르면 오는 2017년이나 2018년에는 NFV 기술이 상용화되는 NFV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준비가 미흡한 상황을 만회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이 같은 차세대 기술에 대해 지원을 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만들고 기술개발 투자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관련 기업들은 NFV에 최적화된 솔루션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통신사업자들도 네트워크 장비 판매회사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NFV를 준비해야 한다.
- 저자
- Shitanishi Hideyuk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98(3)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25~231
- 분석자
- 신*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