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재료용 키토산 필름
- 전문가 제언
-
○ 국내의 (주)아라바이오의 오징어연골 유래 베타 키토산은 높은 구조율과 화학적 안전성(ph6.8-7.2), 고 순도의 키토산 함량(DA98%), 분자량 조절 기술 등 저분자 에서 거대분자(10cps~20.000cps)까지 분획 생산하며, 건강기능식품, 식품 첨가물, 의료용, 화장품등의 다양한 소재로 개발 되어 있다.
○ 연세대학교 경규선 연구팀은 키토산-나노 은 복합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키토산-나노 은 복합필름을 제조, 이들의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이들 복합필름의 항균 평가 결과 순수 키토산 대조군 필름에서는 E. coli에 대한 항균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키토산-나노 은 필름에서는 뚜렷한 항균성을 보였으며 함유된 은의 농도 증가에 따라 항균력 또한 증가하였다(한국식품과학회지, v.46 no.3, 2014, pp.347-351).
○ 키토산은 생분해성, 항균성, 필름 형성성, 가식성의 특징을 살려 키토산만의 이용, 다른 고분자와의 블렌드, 가소제를 혼합하여 유연성 부여, 키토산의 하이드록실기나 아민기를 이용하여 개질 등 다양한 연구개 진행되고 있다. 항균성 키토산을 고부가 가치의 상품으로 개질하여 일반 수지에 블렌드한 필름으로 개발하면 의료용품, 장기식품 포장용 필름으로서 어촌경제와 천연물 개질 관련 중소기업, 포장필름 기업에 창조경제적 효과를 볼 수 있다.
○ 필름에 블렌드에 의한 항균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항균제로는 유기산 및 염(sorbic acid, propionic acid 등), 은 입자. 에센셜 오일, 천연 폴리페놀류, 사차암모늄염 유기물이 있다. 항균 코팅제에 관한 리뷰로는 고종성의 "항균코팅제"(한국유화학회지, 30, 1, 2013, pp.96~115)가 있다.
○ LDPE와 키토산의 블렌드에 키토산과 매트릭스 수지인 PE와의 계면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상용화제로 EAA(ethylene acrylic acid)를 사용하여 압출한 필름은 Aspergillus niger 곰팡이에 대하여 높은 항균성을 보였다(Carbohydrate Polymers, 91, 2013, pp.666?674).
- 저자
- Lambertus A.M. van den Broek,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16()
- 잡지명
- Carbohydrate Polym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7~242
- 분석자
- 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