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접와이어의 왕복형 송급에 의한 GMAW 용접 생산성의 향상
- 전문가 제언
-
○ 최근 들어 전극소모식 불활성가스 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 GMAW)의 용접시스템과 용접기기는 CMT, TWIN, SPRAY ARC, LASER HYBRID, PLUS, SHORT ARC 등을 통해 아크전압의 안정화, 스패터 발생의 저감, 아크 스타트성 등을 개선함으로써 용접생산성과 효율을 높이고 전원 변압기의 소형, 경량화와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RWF-GMAW 공정은 미국의 Edison Welding Institute에서 개발한 용접기술로 용접입열량, 희석률, 용접비드와 용접스패터의 정밀제어 성능이 우수하여 향후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 RWF-GMAW 공정의 용접고속화와 생산성 증가를 목적으로 로봇을 이용하여 용접자동화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용접대상물의 제작과 관련된 경제적인 타당성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용접와이어와 용접토치 축의 동일화, 용접토치의 관리 등을 포함한 용접자동화 생산시스템의 유연성과 융통성을 갖춘 프로그래밍, 용접전원 공급장치와 로봇 팔, 그리고 위치 조정장비 사이에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능 등에 대한 정확한 기술정보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전극 소모식 불활성가스 아크용접(GMAW)에서 용접와이어가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기 위해서는 용접건의 라이너, 구동롤, 콘텍팁 등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특히 RWF-GMAW 공정에서는 용접와이어가 일정하게 전진 이송 및 후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응력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 국내 해양구조물?선박설비의 용접작업에 필요한 첨단형 용접기기를 개발할 때는 최근의 흐름에 맞추어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용접기기의 제조기술자와 이 장비들을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접기술자들은 URL에 접속하여 RWF-GMAW 공정의 이해와 활용에 매우 유용한 자료인 전문을 입수하여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 저자
- Nick Kapust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94(4)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0~74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