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출력 밀도의 초임계수냉각로 정상운전 중 연료봉 거동

전문가 제언

열적 및 열적-기계적 거동 해석으로부터 설계 기준 일부가 충족되지 않으며 현재 설계 압력 인자로는 연료봉이 손상될 수 있음이 알려졌다. 그 이유는 적은 연료봉 크기이며 높은 출력 밀도이기 때문에, 가스 공간의 압력, 길이, 위치, 간극 크기 및 결정립 크기와 같이 일부 인자들은 조정되어야 한다.

 

Pu 분율의 변화는 연료 소결체 중심 온도에 분명한 영향을 주지 않다는 점이 발견되었지만, 평균 선형 열 발생률이 신속하게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 선형 열 발생률이 100%에서 70%로 감소할 때 최대 온도는 2,346에서 1,887로 감소하므로, 선형 열 발생률은 특정 값까지 떨어져야 한다. 이 값에 대한 영향은 재료와 안전성에 대한 요구사항과 더불어 노심 출력 및 기타의 관점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이전의 연구에서 피복재 난형의 불완전성이 또한 압축--수율 응력 비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타성 불안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시간 의존성 크리프 붕괴를 피하기 위하여 PWR과 비교해볼 때, 비율 0.2는 더 보수적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버클링 붕괴 압력의 기준은 초기 가스 공간 압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이 노심에서 초기 가스 공간 압력이 항상 -6.9 MPa의 붕괴 압력보다 큰데 비하여 버클링 붕괴는 없다.

 

고출력 밀도의 노심에 대한 정상운전에서 연료봉의 거동이 최대 피복재표면 온도(MCST), 최대 출력 피크인자(MPPF), 최대 방출 연소도(MDB) 및 상이냉각재 유동패턴(DCFP) 4개의 제한조건에 대하여 분석되었다.

 

국내에서의 초임계수냉각로(SCWR)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및 한국전력연구원에 의하여 2003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실험연구가 프레온 열-수력학 실험유로에서 수행되었다. 이 유로는 R-134a( = 4.059 MPa, =101)를 작동유체로 사용하고 있으며 4.50MPa 160까지 운전할 수 있다. 앞으로 원자력분야 연구의 다양화로 실질적인 원자력 종주국이 되기를 바란다.

 

저자
Haitao Ju, Yuki Ishiwatari, Yoshiaki Ok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289()
잡지명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66~174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