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을 이용한 GABA강화 발효 dosa의 생산 및 dosa의 항고혈압 효과
- 전문가 제언
-
○ 미생물의 종류, 식품의 재료에 따라 발효식품의 종류는 다양하며 각기 독특한 특징과 풍미를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이들 발효식품은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사(dosa)는 쌀과 렌즈 콩 분말 반죽을 자연 발효시킨 크레이프로 인도남부와 스리랑카, 네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지역에서 주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 감마아미노부티르산(γ-aminobutyric acid, GABA)은 비단백질 아미노산으로 흥분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GABA는 뇌기능촉진, 신경안정, 스트레스 해소, 혈압저하, 비만방지, 알코올대사 촉진, 불면증 등에 효과가 있다. GABA는 야채, 과일, 쌀, 콩 등 다양한 식품에 존재하고 인체에서도 생산되지만 그 함량이 낮아 충분한 생리작용을 하지 못한다.
○ 따라서 식품업계와 소비자는 GABA를 첨가한 식품이나 음료에 관심이 많게 되었다. 이 연구는 글루탐산과 GABA생산 L. plantarum MNZ을 이용하여 GABA함유 기능성 발효도사를 생산하고 선천성 고혈압 쥐에 투여하여 항고혈압 효과를 확인하였다. 유산균 발효도사의 GABA함량은 120시간 후에 143㎎/㎏으로 증가하였고 발효도사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와 라디칼 소거활성, 항고혈압 활성이 확인되었다.
○ 최근 국내에서는 GABA의 생산 및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어왔다. 발효 쌀 배아의 GABA처리가 카페인-유발 수면장애 쥐의 개선(정세영 등 2015)을 비롯해서 발효식품(김치, 된장) 숙성중의 GABA함량 변화, GABA생산균주의 분리와 동정, GABA함유 제품의 개발 및 생산, GABA함유 식품, 곡물 및 식품재료 중 GABA함량과 생리적 효능 등 다양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 현재 GABA생산균주로는 L. plantarum K255/K74, L. sakei B2-16, L. brevis F109-MD3, Lactobacillus sp. OPK2-59(김치), L. acidophillus RMK567(원유), B. subtilis MC31(청국장) 등이 보고되었다. 앞으로 글루탐산과 동시에 GABA를 생산하는 균주탐색은 물론 다양한 발효원료를 이용하여 경제성 있는 GABA함유 기능성발효식품 또는 음료의 개발이 기대된다.
- 저자
- Mohsen Zareia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6()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94~203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