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저장 원유 미생물의 다양성과 미생물효소에 의한 우유의 변질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우유와 유제품은 단백질을 비롯해서 많은 영양소를 고루 포함하고 있는 가장 완벽한 식품이다. 유제품의 종류는 우유 외에 요구르트, 치즈, 버터, 분유, 연유 등 매우 다양하며 이런 유제품의 품질은 원유의 품질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고품질의 원유를 생산하기 위해 농장에서부터 유가공 공장에 이르기까지 원유의 생산단계 전반에 걸쳐 HACCP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 우유의 품질은 풍미, 미생물학적 품질, 외래물질의 혼입, 영양학적 품질, 환경오염물질의 유입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중에서 우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원유의 미생물 다양성과 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 논문에서는 농장의 원유샘플과 유가공 공장의 원유저장탱크에 냉장 저장한 우유샘플에서 미생물을 분리?동정하고 이들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 특히 단백질과 지방분해효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20개의 원유샘플에서 총 2906균주를 동정한 결과 61속 169종이 밝혀졌다. 가장 많이 분리된 속은 Pseudomonas, Lactococcus, Acinetobacter로 62%를 차지하였고 46속은 6.6%를 차지하였다. 분리균주 중 18%는 미지의 속이었다. Pseudomonas속 균주는 주로 지방과 단백질을 분해하였고 Acinetobacter속은 지방을 분해하였다. 특히 6°C에서 유산균은 37%만 효소활성을 보였고 이 경우 97%는 단백질분해효소였다.
○ 최근 국내에서는 우유 저장온도가 황색포도상구균의 성장과 독소 생 성에 미치는 영향(김기환 등 2014), 초고압처리 우유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이지은 등 2014), 우유와 유제품의 미생물동정을 위한 MALDI-TOF MS활용(김현욱 등 2012), 우유와 유제품의 안전성평가를 위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법(김현욱 등 2011) 등 많은 연구가 보고되었다.
○ 우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유해미생물의 오염 및 냉장저장 중에 생장하는 저온미생물과 그 효소에 의한 변질이 문제가 된다. 앞으로 우유의 품질관리를 위해 저온미생물의 탐색과 미생물 대사산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저온미생물의 탐색은 우유를 기질로 하는 미생물 분리배지와 배양조건이 검토되어야 한다.
- 저자
- Mario von Neubeck,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11()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7~65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