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아민의 생리활성: 생활습관병 예방과 수명 연장에 관하여
- 전문가 제언
-
○ 폴리아민(polyamine)은 체내에서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되는 2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가진 물질의 총칭이다. 폴리아민은 모든 동식물과 인간의 세포 내에서 성장기에 왕성하게 합성된다. 폴리아민의 생리작용으로는 핵산의 안정화, 핵산?단백질의 합성 촉진, 단백질의 아세틸화와 인산화, 효소의 활성화, 세포막의 안정화 등이며 항산화, 항 알레르기, 항 당화 작용, 항노화 작용이 알려져 있다.
○ 이 총설에서는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 경화 등 성인병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사에 미치는 폴리아민의 기능, 폴리아민 함량이 높은 음식에 의한 체내 폴리아민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건강?장수에 기여하는 식품(콩, 버섯, 간, 해산물, 채소)과 식습관(지중해식, 일식)에는 폴리아민(spermine, spermidine)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폴리아민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인간과 쥐에서 혈중폴리아민 농도가 상승하면 노화를 억제하고 수명이 연장된다.
○ 나이가 많아지면 DNA methyltrasferases(메틸화 효소)의 활성저하와 유전자 이상메틸화(탈메틸화 및 메틸화 촉진)을 동반한다. 폴리아민 부족은 유전자의 이상메틸화가 유발되고, 폴리아민을 첨가하면 이상메틸화가 개선된다. 노화는 염증유발과 관련된 면역세포의 세포막 단백질인 leukocyte function associate antigen 1(LFA-1) 유전자의 메틸화를 증가하여 생활습관병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확인되었다.
○ 폴리아민을 많이 함유한 식품으로는 곡물의 배아나 기울, 어류의 정소, 치어, 어패류의 내장이나 알, 버섯, 콩, 팥, 치즈 등이나, 최근 선진국에서 대두, 소맥, 발아현미 유래의 phyto-polyamine이 상품화되고 있다. 폴리아민의 농도 0.15% 이상으로 표시된 기능성식품은 발모촉진, 종합 미용, 안티에이징 소재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 질병예방과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해 포유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전자의 노화나 수명 관계를 밝혀, 이용하기 쉽게 폴리아민을 함유한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저자
- Soda Kuniyas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2)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3~26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