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관광관련 자외선 차단제가 새로운 환경리스크를 몰고 올 것인가?

전문가 제언

현대인들의 휴양과 리크레이션의 비중이 증가됨에 따라 해양관광과 해양 스포츠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해양 이용인구의 증가는 자외선 차단제의 소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바다의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본 보고는 자외선 차단제의 환경오염을 조사하여 평가한 것으로 삼면이 바다에 접한 우리에게도 참고할 만한 보고이다.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성과 무기성의 성분으로 조성된 것으로, 환경에 배출되는 주요 루트는 해양관광과 해양 리크레이션 그리고 하수처리시설에서 배출되고 있다. 유기 및 무기성 자외선 차단제의 대표적인 성분은 산화아연(ZnO)과 이산화티탄(TiO2) 등으로 조제되는데, 이들의 독성으로 수생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먹이사슬에 생물을 축적하는 경향이 있어 대책이 요구된다.

 

지상으로부터 약 1350의 대기층인 성층권의 오존은 태양광선 중 해로운 자외선(UV)으로부터 지구상의 생명체를 보호하는 얇은 보호막 역할을 한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 과학자들은 성층권 오존이 감소되고 있다는 증거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오존의 감소는 프레온가스(CFCs)가 주요 요인이므로 대기오염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행락객의 급격한 증가세로 자외선 차단제의 판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해양관광이나 해수욕장 이용객의 소비 외에도 산과 야외활동에서 자외선에 의한 신체상의 피해를 보호하려는 심리가 증대된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보고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할 만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데, 자외선 차단제의 친환경성 성분을 개발하여 대체하는 방안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해양연안의 주민과 바다를 찾는 행락객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생태계 파괴의 심각성을 홍보하여 오염을 극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David Sanchez-Quiles, Antonio Tovar-Sanchez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83()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8~170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