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중특이(성) 항체(bsAb): 제작 및 응용 전략
- 전문가 제언
-
○ 2중 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 bsAb)는 2종류 항체들의 특이성을 결합함으로써 동시에 2종류의 서로 다른 항원(epitope)들과 반응한다. 이처럼 기능적으로 2종류 표적을 가지는 BsAbs는 다양한 세포 표면 수용체들이나 대응 리간드들을 방해할 수 있다. bsAb에 대한 임상적 개발은 현재 암과 염증질환 치료 2가지 영역에 초점을 두고 이뤄지고 있다.
○ 지난 20여 년간 유전공학은 여러 재조합적 2중 특이항체 포맷들이 나오게 하였고, 이것이 치료용 및 진단용 bsAb의 개발에 혁명을 일으켜 연구자들이 원하는 표적-생산물 프로필에 적합하도록 bsAb의 크기, 결합가, 유연성, 반감기 및 생물학적 분배까지 가능하게 만들었다.
○ 그 결과 세계 굴지의 제약회사들이 bsAb 제작에 몰입하게 되었고, 일부 bsAb가 2014년 12월부터 판매에 들어갔으며, 상당수 bsAbs 제품들이 현재 임상시험을 진행 중에 있다. 이 리뷰는 차세대 신약으로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인정되는 항체-기반 치료제로의 bsAbs에 대한 잠재력, 개발현황과 전망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 것이다.
○ 치료용 bsAb의 작용양식인 ①종양세포 표면 항원과 면역세포 항원에 대한 bsAb를 사용한 T세포들 또는 자연살생세포(NK)들을 종양으로 유인시켜 세포독작용에 의한 종양세포 제거작용, ②수용체 및 신호계 리간드 저해에 의한 암세포 증식 또는 염증 차단, ③IgG의 공통적 L-사슬과 혈액응고인자들의 강제연합 단백질복합체(이형2량체 bsAb)에 의한 결손 인자의 극복으로 나눌 수 있다.
○ 연구자들은 현재까지 출현한 재조합 bsAb들의 제작 전략과 제품들의 작용 원리와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된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해 피력하고 있다. 국내의 bsAb 관련 연구 수준과 기술 수준은 선진 수준이므로 분자생물학, 의?약학 그리고 제약 분야의 관련분야 연구자들과 기술자들에게 이 리뷰는 차세대 치료용 항암제와 항염제 개발, 그리고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좋은 활용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Roland E. Kontermann and Ulrich Brinkman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20(7)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838~847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