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순차적으로 교환-여기 되는 인터록킹 전극을 이용하는 새로운 용량형 변위 센서

전문가 제언

산업 현장에서 변위(displacement)와 위치(positioning)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마이크로 혹은 나노 환경이 현대 산업의 키워드가 되면서 초미세변위와 위치측정 기술의 고도화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정밀 변위측정에 대한 수요는 과거부터 있었으며 이에 대응하여 많은 전통적인 측정기술과 장비가 개발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LVDT이다. 또한 미세변위를 대상으로 하는 용량형 변위 센서는 나노수준의 분해능과 함께 길게는 수 mm의 측정범위를 갖고 있어서 산업 현장에서 가장 보편화된 길이측정 수단이 되고 있다.

 

용량형 변위 센서의 이 같은 약진에도 불구하고 측정범위가 두 전극 면 사이의 갭으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분해능을 높이기 위한 전극면의 소형화는 측정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더욱 작은 갭을 필요로 한다. 이 한계를 극복하여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한 시도로서 면적 변화형(area-varying) 용량형 변위 센서가 등장하였다.

 

용량면의 면적변화는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빗살모양의 interlocking 고정자전극을 사용하여 달성한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새로운변위 센서는 크게 새로워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동자와 고정자의 출력을 각각 두 채널로 수집하여 용량 결합함으로서 이동자와 고정자전극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준(quasi)정현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장점이 있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대학과 연구소에서 이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원 길이/시간 연구그룹은 원자힘 현미경 등의 초정밀 길이(혹은 형상)측정 기술의 일환으로 거리-변화식(gap-varying) 용량형 변위 센서를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일찍부터 국내에서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포항공대는 접촉식 면적-변화형 용량형 변위 센서 등에서 많은 업적을 내고 있다.

 

저자
Hongxiang Yu, Lifeng Zhang, Mengfeng Sh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5
권(호)
230()
잡지명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94~101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