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Ga합금의 우수한 수소저장 특성
- 전문가 제언
-
○ 현존하는 에너지 중에서 가장 풍부하며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수소는 인류 궁극의 연료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폭발성이 크기 때문에 저장에 문제가 있다. 이 수소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저장용 고체금속으로 La-Ni계의 수소저장합금이 1960년 네덜란드의 필립스사에서 처음 개발하였다. 이것은 금속과 수소를 반응시켜 수소가스가 금속에 흡수되어 금속수소화물을 생성하면서 수소를 저장한 후, 이를 가열하여 수소를 방출시켜 회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 최초의 La-Ni계 수소저장합금 이후 많은 연구를 통하여 여러 재료와 공정이 제안되었다. 그 중, 수소저장용량이 큰 Mg합금의 수소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방법 중 볼 밀링(BM)을 포함하여 NbF5, nano-TiO2, Pd, Y 및 Ni같은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MgH2의 수소방출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Si 또는 Ge를 MgH2와 BM하여 기계적 합금화하여도 수소방출 반응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한다.
○ Mg내의 Ga의 고용한도는 573K에서 5wt%이기 때문에 Mg(Ga)고용체가 수소흡수(방출)과정 중 형성될 수 있으며 수소저장능력이 Mg(In)과 유사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g-Ga계에는 Mg5Ga2, Mg2Ga, MgGa등의 금속간 화합물이 있으며 이들도 수소흡수(방출)과정 중 반응경로를 변경시킬 가능성이 있어서 MgH2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전의 연구를 이용하여, 이 분석에서는 합금원소로 Ga를 이용하여 Mg-Ga계합금의 수소저장능력과 반응 기구를 규명한다.
○ 이 분야 연구는 서방 선진국에서 처음 시작된 이래 일본에서 활성화 된 후 뒤늦게 최근 중국 에서 폭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80년 후반부터 KAIST의 이재영 교수팀이 국내에서 처음 시작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현재는 그 제자들이 주축이 되어 전북대, 전남대, 한양대, 공주대 등의 대학과 KIST, 재료연구소 및 한국세라믹기술원 등의 연구소에서도 활발히 연 구를 수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원이 무한하고 공해가 없는 이상적인 에너지원으로서의 수소를 가장 효과적으로 저장-방출 할 수 있는 우수재료개발이 시급하다.
- 저자
- Daifeng Wu, Liuzhang Ouyang, Cong Wu, Hui Wang, Jiangwen Liu, Lixian Su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42()
- 잡지명
-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80~184
- 분석자
- 남*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