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수질 모니터링에 의한 연안해역의 엽록소 검색: 스웨덴 발틱해
- 전문가 제언
-
○ 엽록소는 식물이 광합성을 하는데 필요한 빛을 흡수하는 색소이다. 여러 종류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엽록소 a와 b이다. 클로로필-a는 엽록소의 종류 하나로 660㎚와 429㎚의 주흡수극대를 가진다. 엽록소-a는 세균을 제외한 모든 광합성 생물에 존재하며 특히 수계환경 내의 식물플랑크톤 세포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분포한다. 이 가운데 엽록소-a(클로로필-a)의 분자식은 C55H72O5N4Mg이고 분자량 892, 융점 117∼120℃, 660nm와 429nm의 주 흡수극대를 가진다.
○ 엽록소-a의 양을 측정하면 수계환경 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화학적 성분들과 더불어 수계환경의 부영양화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클로로필(엽록소)은 인간으로 말하면 체내의 혈액과 같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녹색을 띠며 해양에서 해수의 색깔이 녹색과 황색등으로 변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 이 글은 발틱해의 연안지역의 클로로필-a 농도 비교를 목적으로 위성과 선상모니터링 자료 비교를 위해 2008년과 2010년의 위성 MERIS자료와 선박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위성모니터링 시스템이 신뢰성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해양색은 원격감지와 현장 샘플링과 결합 될 때 연안지역의 보다 효과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개선 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연안유역의 부영양화 평가 및 상태분류에도 중요하다고 언급을 하고 있다.
○ 해양은 규모가 매우 크므로 육상이나 대기로부터 해양에 들어오는 모든 오염물질들을 정화시킬 수 있는 곳이지만 해양은 자정능력의 한계를 벗어나면 해양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자연재해로 인하여 인간이 최종적으로는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해양 기초생물 생산량 파악, 연안 부유입자의 이동?확산 방지 및 효율적인 수산자원 관리를 위한 연안 해수의 종합적인 수질감시를 위해 위성과 선상모니터링뿐 아니라 수시로 사용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에 의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효율적인 연안의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E. Therese Harve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58()
- 잡지명
-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17~430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