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내부 임플란트로 무선전력전송
- 전문가 제언
-
○ 전기 생리학(electro-physiology)은 신체내부의 정적 동적 전기현상을 연구하는 생리학으로 신체의 정상여부관련 정보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생체기능의 회복 수리 교체와 재창조 수단을 제공한다.
○ 체내 이식된 기존 임플란트의 수명은 사용전원에 좌우되어 충전 및 전원교환에 따른 외과수술은 피할 수 없는 불편함이 수반된다. 이것은 무선전력 전송기술의 도입으로 극복되어 환자의 편이성이 향상된다.
○ 임플란트 응용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방식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특히 유도커플링 기술이 캡슐형 내시경과 초소형 임플란트 위장 자극기에 적용되어 기술응용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많은 기법이 개발되었지만 무선전력 전송기술의 전송효율 향상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주요과제이다.
○ 잦은 훈련과 전투로 인해 많은 병사들은 외상으로 인한 뇌손상(TBI)이 자주 발생되어 전투력손실을 유발한다. 이러한 손실을 예방하는 임플란트 기술과 임플란트 수명연장을 위한 무선전력 전송기술은 미래전을 준비하는 주요기술이다.
○ 최근 미국 DARPA는 뇌가 손상된 참전 군인들의 활동기억을 회복시켜줄 뇌 임플란트의 개발을 착수하였다. 이것의 주요 목표는 무선으로 이식 가능한 신경보철을 개발하여 뇌 손상 전의 기억을 회복하게 하는 것이다.
○ 국내 관련대학과 연구소의 체내이식 임플란트와 사용전원의 극소화와 관련된 의용전자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기초연구수준이며 이식된 임플란트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향후 국가적 헬스케어분야의 응용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연구계획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Smitha Rao, J.-C. Chia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16(2)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4~64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