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선 펄라이트강의 내수소취화특성에 미치는 시효처리의 영향

전문가 제언

Takai 등은 신선 펄라이트강의 TDA에서 100부근의 제1피크의 수소 및 300부근의 제2피크 수소가 존재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Doshida 등은 신선 펄라이트강을 수소존재 하에서 스트레인을 부여하면 수소취화 감수성이 높아지고 이것은 제1피크 수소량의 증가와 상관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Chida 등은 신선 펄라이트강을 시효처리하면 제1피크의 수소량이 감소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예로서 250에서 30분의 시효로 제1피크의 수소량이 크게 감소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시효 중에 전위에 C가 트랩되어 수소의 트랩사이트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미세석출물 계면의 수소는 계면의 스트레인장을 트랩(trap)시킴으로써 확산이 곤란하게 되어 내수소취화특성이 개선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한편 수소는 기공이나 전위와 상호작용을 가진다. 즉 수소는 소성변형으로 형성된 기공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공을 안정화시킨다고 여겨진다. 또 수소는 전위의 스트레인장 또는 전위심을 트랩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소재의 물성은 그 내부의 미세구조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미세구조와 물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미세구조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물성을 도출해 낸다. 따라서 미세구조의 분석을 통한 구조-물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미세구조 분석장비는 국내의 대학, 연구소, 산업체 등에 다양하게 보급되어 있으며 국내의 강재 열처리분야의 기술수준 또한 매우 높아 어려움 없이 잘 대처해 나간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소재분석장비 도입에 비하여 전문인력의 양성 및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고가, 고성능의 분석장비의 효율적 활용에 한계가 있다하겠다. 따라서 전문인력의 양성과 배치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수적이다.

저자
Daisuke HIRAKAM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101(1)
잡지명
鐵と鋼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9~64
분석자
김*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