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가스 아크용접의 저스패터화 입상용적 이행 제어
- 전문가 제언
-
○ 조선해양기자재 산업의 기반기술인 아크용접에 있어서 용접 능률의 향상과 용접이음부분에 결함이 없는 고품질의 용접부를 얻기 위해서는 용접와이어 선단에서 일어나는 용적이행 형태의 세밀한 이해와 용적이행의 제어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 용적이행 형태는 일반적으로 스프레이(spray) 이행, 입상용적(globular)이행, 단락(short circuit)이행 형태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조선현장에서 실드가스의 가격이 저렴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탄산가스아크 용접에서는 입상용적이행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이 용적이행에서 스패터가 많이 발생하여 용접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문제시 되고 있다.
○ 본문에서는 탄산가스 아크용접 시 스패터와 용접퓸의 발생을 현격히 저감시키는 새로운 용접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있다. 새로이 개발한 공정에서는 용접전원의 출력을 펄스파형으로 제어하고 이 펄스 파형을 다시 용적의 형성을 담당하는 펄스파형과 용적의 이탈을 담당하는 펄스파형으로 나누어 이 2종류의 펄스파형을 1주기로 하여 용적의 과대성장 및 반발이탈을 억제하는 규칙적인 입상 용적이행을 실현함으로써 스패터와 용접퓸의 발생을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 최근들어 아크용접은 용접재료의 발전과 용접전원의 디지털화, 용접아크의 가시화, 용적이행의 제어기술, IT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용접기기의 고도화를 통해 용접부의 품질확보와 비약적인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고 있다.
○ 금후 국내의 조선 해양기자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용접기술의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용접 아크의 물리현상과 용적이행 현상, 이의 세밀한 제어기술의 개발, 국내의 선진화된 IT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품질의 용접부를 구현할 수 있는 용접전원개발, 로봇시스템, 자동화시스템 등 무인화와 고생산성 용접기술개발에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개발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 저자
- SATO Eiji, YAMAZAKI Ke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4(4)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39~243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