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상풍력 발전의 개발 및 확대 전망
- 전문가 제언
-
○ 2013년 세계 풍력발전 설치용량은 318GW이고, 상반기에 1,080MW가 설치되는 등 풍력에너지가 가장 성숙된 신재생 에너지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해상풍력산업은 지난10년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평균 투자비용이 3,000유로/kW 정도로 평가되고 있는데 기술발전과 대형화 및 정책지원 확대로 2020년에는 1,500유로/kW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주도로 1,000만k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동부 해안에 설치될 전망이다. 12차 5개년 계획에 2015년의 해상풍력 발전용량 목표를 500만kW로 정하고,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2017년에 운행할 근해풍력발전 전기의 기준가격(Benchmark price)을 0.85위안/kW, 해안풍력발전 전기의 기준가격을 0.75위안/kW로 정하였다.
○ 중국의 미래 해상풍력 발전을 위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는 첫째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복잡한 심사와 비준 프로세스의 개선, 둘째 운영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셋째 해상풍력발전 전력에 대한 지원과 해저 케이블 등 송전설비 개발에 대한 지원 정책의 제정, 넷째 핵심부품 국산화와 풍력발전설비의 신뢰성 향상 등이 있다.
○ 중국은 2020년에 해상풍력 황금기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발전으로 비용이 감소하게 되고, 2017년에 벤치마킹 가격을 재조정하면 시장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투자수익이 발생할 것이다. 또 지자체의 의욕적인 목표와 배기가스 감축과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대한 2020년 목표를 달성하려는 움직임은 해상풍력 개발을 더욱 촉진하게 될 것이다.
○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서해에 2.5GW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여 세계 3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해상풍력산업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신설하고, 국가와 지자체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선도하고, 지원 항만과 배후 산단 연계로 해상풍력 기업을 집적화하고, 해상풍력 시범프로젝트와 제조, 기술 및 건설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 저자
- Xin-gang Zhao ,Ling-zhi R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81()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44~657
- 분석자
- 나*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