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항공기의 인지무선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무인자율비행체인 무인항공기(UAV)의 새로운 로봇시대가 도래하였다. 이 로봇은 군사적 응응은 물론, 교통, 통신, 농업, 재해복구 및 환경보전 등 민간 응용과도 관계된다. UAV 운영의 핵심기술의 하나인 인지무선기술(cognitive radio technology, CRT)은 주파수대 사용에 혁명을 가져온 통신에 필요한 신기술로 부상하였다.
○ UAV의 통신 주파수대는 IEEE L-밴드, IEEE S-밴드와 ISM(산업, 과학, 의료)밴드이다. 최근 이들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는 스마트폰 같은 무선디바이스 개발로 이들 주파수대 사용이 포화되어 주파수대 부족문제가 대두 되었다. 이에 CRT가 주파수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가용 주파수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이 해설논문은 UAV의 인지무선기술(CRT) 동향과 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 주파수대의 15∼85%만이 어떤 주파수와 시간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대(white space)임을 알게 되어 미 연방통신위원회(FCC)는 면허받은 사용자가 방해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면허받지 않은 장비로 white space 주파수 사용을 허가했다. 따라서 CRT는 white space 주파수를 수시로 탐지, 이용할 수 있는 신기술이다.
○ 미국은 현재 120여종 약 11,000여기의 UAS를 운영하고 있는데, 단일 국가로는 운영종류 및 수량 면에서 압도적이다. 유럽은 국가별로 다양한 개발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EU는 기업주도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차세대 군사용 무인기개발에 나서고 있다.
○ 국내의 무인항공기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착수하여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정찰용 ‘송골매’와 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하여 개발한 무인틸트로터(수직이착륙헬기), 대한항공의 근접감시용 무인 항공기 등, 한국의 드론기술 수준은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다음으로 세계7위이며, ETRI와 삼성이 IEEE 802.22 기술을 제안하여 반영시키는 등 CR기술 개발과 함께 국제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저자
- Yasir Saleem , Mubashir Husain Rehmani, Sherali Zeadally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50()
- 잡지명
- Journal of Network and Computer Appl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5~31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