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 접속 전기자동차의 소비자 관심에 관한 공공충전 인식
- 전문가 제언
-
○ 정책입안자는 흔히 PEV(Plug-in Electric Vehicle: 플러그 접속 전기자동차)에 대한 편리성과 관심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위치에서의 PEV 충전기의 가시성을 증가시키려고 애쓴다. 그러나 실제로 공공충전소의 가시성이 PEV 수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명확하지 않다. 이 문헌의 연구목적은 첫째로 캐나다 내의 공공 PEV 충전 기반시설을 위한 가시성의 현 수준을 평가하고, 둘째로 공공충전 기반시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PEV 구매 관심 간에 통계적 중요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 2013년에 1,739명의 캐나다 신차구입자 표본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약 18%의 응답자가 적어도 한번은 공공충전기를 찾았다. 공공충전기의 소재인지와 PEV 구매 관심 간에 의미 있는 두 변수 관계를 발견했다.
○ 그러나 회귀분석에서 다중 설명변수(explanatory variable)를 조절할 때 관계는 약화되거나 없었다. 적어도 한 충전기의 소재인지는 PEV 채택관심과 의미 있는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여러 충전기의 소재인식은 약하지만 의미 있는 관계를 가졌음을 알게 한다. 따라서 공공충전기 소재인식은 PEV 관심의 강한 예측변수는 아니고 집에서의 레벨1 (110-120볼트) 충전 가능성과 같은 다른 변수가 더 중요하다 하겠다.
○ 2013년 캐나다의 PEV 채택에 관련한 조사연구를 살폈다. 타산지석이 라고만 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내연엔진과 배터리가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2014년을 시작으로 현재 10종이 운행되고 있다. 국산 EV(Electric Vehicle)로는 2012년에 기아자동차가 ‘RAY’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 7종의 EV 승용차가 제주도를 위시하여 운행 중이다.
○ 2016년에는 현대 자동차가 PEV를 출시할 예정으로 되어 있어 이제 본격적으로 EV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두되는 과제는 보다 쉬운 충전이다. 우리도 이 문헌과 같은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어디서나 쉽게 충전소의 소재를 인지하고 쉽게 충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 과제를 해결하는 범국가적 노력이 절실하다 하겠다.
- 저자
- Joseph Baile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36()
- 잡지명
-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